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 국민연금 미납시 압류,체납처분되나요?압류 피하는방법!

by from그로밋 2023. 10. 1.

국민연금압류피하는 방법안내
국민연금 미납시 압류 피하는 방법

"국민연금을 미납하고 있었는데 압류통지서가 날아왔어요. 진짜 압류되나요?"라는 질문을 많이 받는데요. 국민연금을 장기간 연체하게 되면 압류처분이 내려지며 예금의 인출정지, 대출금회수등의 강력한 조치가 취해집니다. 압류 시 당하는 불이익과 압류를 피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숨은 재산찾기/휴면계좌 전부조회하기

 

내계좌한눈에.휴먼계좌통합조회하기(10초컷)

내 명의로 된 모든 계좌 모아서 한눈에 보여드립니다! 내 계좌 한눈에 서비스~ 지인에게 들어준 보험에 저축되어있는 보험금이 얼마인지? 잔고가 얼마 안돼서 안 쓰고 잊혀졌던 은행계좌에 얼마

todaygromit.tistory.com

국민연금 압류되면 예상되는 불이익은 뭐가 있나요?

국민의 생활안정과 노후복지를 책임지고 있는 국민연금이 이를 내지 않았다고 해서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을 더 어렵게 한다는 문제가 있는 것도 사실인데요. 국민연금공단은 공과금처럼 징수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징수금을 기반으로 기금을 적립하여 향후 연금개시시점에 가입자에게 급여를 지급하기 때문에 징수에 강제성을 띌 수밖에 없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체납기간이 오래 지속되고 있다면 압류로 미징수금을 징수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압류시 당하는 불이익은 뭔가요?

압류통지서를 받았음에도 연체가 지속된다면 압류가 진행되는데요. 압류 시 받는 불이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예금의 인출과 송금금지 (증권사 계좌도 인출불가)

   - 신용카드 거래중지

   - 대출금의 중도회수

   - 신용도 하락에 따른 금융기관 이용에 대한 불이익

압류시에는 금융기관 이용에 제약이 걸리는 무시무시한 상황이 발생되는데요. 이뿐만 아니라 가입기간이 부족해지면 연금개시나이에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을 못 받을 수도 있답니다. 국민연금은 만 18세~60세 미만의 국민이라면 누구나 내야 하기 때문에 무조건 피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닌데요. 국민연금을 미납하고 있다면 압류에 들어가기 전에 피할 수 있는 방법이 여러 가지 있습니다.

국민연금 미납시 압류

국민연금 압류피하는 첫번째 방법 (분할납부)

국민연금의 압류를 피하는 방법으로는 미납된 국민연금을 분할납부하시면 되는데요. 압류가 진행 중이라 하더라도 분할납부를 약속하고 납부이행하면 압류를 피할 수 있습니다.

1. 아래 공식홈페이지에서 접속합니다.

국민건강보험 공식홈페이지 접속하기

 

국민건강보험

 

www.nhis.or.kr

2. 민원 여기요 > 개인민원 > 보험료납부 > 체납된 보험료 내역을 확인 후 분할납부

3.1577-1000으로 전화해서 국민연금 분할납부 신청하시면 완료.

국민연금 압류피하는 두번째 방법 (납부예외)

분할납부도 할수없을만큼 경제적 여유가 없는 경우도 있는데요. 바로 실직이나 휴업, 폐업, 사고발생등의 사유로 수입이 없거나 생계를 유지하기 힘든 경우에는 납부예외 신청을 통해서 국민연금의 납부를 3년간 중단할 수 있습니다. 3년 이후에도 사정이 나아지지 않았다면 기간연장이 추가로 가능하니 압류당하지 마시고 꼭 납부예외 신청하세요.

납부예외를 신청하는 방법은

1.아래 납부예외 공식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납부예외 공식홈페이지 접속하기

 

국민을 든든하게 연금을 튼튼하게

작업사유 2023.9월분 사업장 및 지역가입자 부과결정 자료 구축 중단시간(작업시간에따라 변동가능) 2023.9.16.(토) 오전 9시 ~ 2023.9.17.(일) 오전 9시 까지 중단업무 공단홈페이지 및 EDI시스템의 가입

minwon.nps.or.kr

2. 개인서비스 > 신고/신청 > 소득없는 개인의 납부예외 신청을 눌러서 양식에 맞게 작성하면 국민연금의 납부를 중단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납부예외신청

나중에 돈이 생겨서 못냈던 기간의 국민연금을 채워 넣고 싶다면? 

국민연금을 수령하려면 가입기간 120개월을 채워야 하는데요.납부예외로 미납기간이 늘어나 120개월을 못 채우게 된다면 노령연금을 못 받게 됩니다. 따라서 나중에 경제적 여유가 생기면 미납기간의 납입금을 한번 또는 분할해서 납부하실 수 있는데요. 이게 바로 국민연금의 추납(추가납부) 제도입니다. 추납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자격이 필요한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글에서 자세하게 써놓았으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자격사항은 미리 알아두지 않으면 나중에 신청을 못할 수 있으니 지금 바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추납제도 알아보기

 

국민연금 추납제도란?신청방법 및 자격(총정리)

국민연금에 다들 가입하셨죠?국민연금을 받기위해서는 납부기간 10년(120개월)을 채우고 수급연령이 되어야하는데요.10년을 다 못채운 경우라도 추납제도를 통해서 연금을 받으실수 있습니다.국

todaygromit.tistory.com